elasticsearch 이슈 대응 (1)

사건의 개요

19년 10월 24일 오후 즈음…
언제나 그렇듯이 바쁜 일상 속에서 업무 중요도에 따라 잠시 미뤄뒀던 task 로 인해 오늘도 작은 이슈가 발생하였다.

아래 이미지와 같이 elasticsearch 에서 로그가 쌓이지 않는 이슈가 발생하였고 그에 따라 업무에 필요한 로그 확인이 어려운 상황이었다. 심지어 로그가 쌓이지 않고 있다는 것도 너무 늦게 알았네

로그 수집에 대한 flow 는 어렵지 않으므로 kafka 와 elasticsearch 사이에서 이슈 구간이 어디인지 알 수만 있다면, 문제 해결 자체는 어렵지 않을 것이라 생각하고 늦게나마 확인 작업을 시작하였다.


logback -> kafka 구간 확인

우선 was 의 logback 에서 kafka 로의 메시지 전달에 문제가 없는지 확인하기 위해, kafka 의 kafka-console-producer.sh 을 실행하여 로그용 topic 에 메시지가 쌓이고 있는지를 확인하였다.

1
2
3
$ /usr/local/kafka/kafka-console-consumer.sh 
--bootstrap-server kafka-server1:9092,kafka-server2:9092,kafka-server3:9092 \
--topic log-v1

--from-beginning 옵션을 제거하면 kafka-console-consumer.sh 실행 이후의 시점부터 전달되는 메시지를 console 에 출력하게 된다.

실행결과 was 의 logback -> kafka 구간에서는 이슈 없이 메시지 전달이 정상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kafka -> logstash 구간 확인

다음으로 kafka 에서 logstash 구간을 확인하였다. kafka 자체의 동작에는 이슈가 없음을 확인하였기에, logstash 의 process 상태와 로그를 통하여 logstash 의 정상 동작 여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logstash 의 로그 위치는 /etc/logstash/logstash.yml 에서의 path.logs 에 따라 /var/log/logstash 에 남고 있었고, 이를 tail -f 하여 실시간으로 로그를 확인하였다.

1
2
$ cat /etc/logstash/logstash.yml | grep path.logs
$ tail -f /var/log/logstash/logstash-plain.log

그 때의 로그 상황은 다음과 같다.


FORBIDDEN 이라는 기분 나쁜 문구와 함께 뭔가의 에러로그가 찍히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해당 문구를 구글링했을 때 비교적 많은 검색 결과를 얻을 수 있었고, 이슈 발생 원인은 elasticsearch 가 사용하는 disk space 가 부족할 때 elasticsearch 의 down 을 막기 위해서, 문제 시점 이후로는 index 의 읽기와 삭제만 허용하도록 자동적으로 설정이 바뀌기 때문임을 알게 되었다 (elasticsearch 에서 해당 설정값은 read_only_allow_delete=true 이다)

정리하면

  1. elasticsearch 의 저장공간이 부족한 상황에서 추가적인 저장을 실행하면 elasticsearch 를 포함한 서버의 모든 프로세스가 영향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2. elasticsearch 가 자체적으로 저장 operation 을 차단시키는 설정으로 변경되었고
  3. 이 후 kafka 에서 메시지를 읽어서 elasticsearch 에 저장하고자 했던 logstash 쪽에서 에러가 발생하는 것이었다.

이 때, 필자는 elasticsearch 가 되게 스마트하다는 것에 감탄했었고, 이는 마치 MSA 에서 과도한 트래픽으로 인해 시스템이 다운되기전에 트래픽을 차단시키는 circuit breaker 와 맥락이 비슷하다는 것을 느꼈다.

더 상세한 설명은 다음의 링크를 참고한다

어쨌든 문제 상황의 원인은 알았으니 빠르게 해결하는 일만 남았다.


해결!

단기 해결책

elasticsearch 의 용량이 부족한 상황을 알았으니 우선 용량을 확보하는 것이 급선무였다.

이를 위해

  1. elasticsearch 에서 오래된 index 삭제
  2. elasticsearch 의 설정값 read_only_allow_delete 를 false 로 변경

을 진행하였고, read_only_allow_delete 를 false 로 바꾸자마자 로그가 다시 들어오는 것을 확인하였다.

read_only_allow_delete 를 false 로 바꿀 때에는 kibana 의 Dev_tools 메뉴를 이용하면 편리하다.


read_only_allow_delete=false 를 실행하는 즉시 logstash 를 통하여 elasticsearch 에 데이터가 저장되기 시작한다.

logstash 에서 elasticsearch 로의 output 이 성공하기 시작

순식간에 로그가 복구됨

보통 elasticsearch 에 데이터를 저장할 때는 timestamp 를 기본 값으로 포함시키고, index 도 날짜를 기준으로 생성하는 것을 권장한다. 날짜별로 index 를 생성한다면 특정 기간이 지난 index 를 찾아서 삭제하기 쉽고, 날짜별 index 의 크기 및 특징을 확인하기에 편리한 장점이 있기 때문이다.

또한, kibana 를 통해 로그를 검색할 때에는 topic-* 같은 패턴으로 kibana index pattern 을 생성하면 날짜와 상관없이 topic 별로 데이터 검색도 가능하다. (즉, elasticsearch 의 index 저장 시에 날짜별로 구분해도 문제가 없다는 뜻이다)

참고로 필자가 근무하는 시스템의 logstash 에서는 elasticsearch 에 데이터를 저장할 때 아래와 같은 설정으로 저장하고 있다. -%{+YYYY.MM.dd}" 를 선언하여 날짜별로 index 를 생성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1
2
3
4
5
6
7
8
-- 설정 일부 
output {
elasticsearch {
hosts => ["elasticsearch1","elasticsearch2","elasticsearch3","elasticsearch4"]
index => "%{es_index}-%{+YYYY.MM.dd}"
manage_template => false
}
}

근본 해결책

근본적인 해결 방법은 elasticsearch 의 disk space 가 부족한 상황이 되지 않도록 환경을 만드는 것이다.

이를 위해

  1. elasticsearch 가 사용하기에 충분한 disk space 를 할당하고
  2. 주기적으로 오래된 index 를 제거하는 것
  3. disk 와 같은 리소스 부족 시 자동으로 notification 이루어지는 체계 구축

이 필요하다.

1번의 경우, elasticsearch.yml 의 path.datapath.logs 를 변경한 후에 elasticsearch cluster 를 재시작하면 데이터 및 로그 저장 경로를 변경할 수 있다. 자세한 처리 방법은 다음의 링크를 참고한다 (elasticsearch data 및 log 저장경로 변경)

2번의 경우, kibana 의 메뉴에서 management > Index Lifecycle Policies 에서 특정 topic 에 대한 삭제 주기를 설정하면, 삭제 없이 index 가 무한정으로 증가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아래 이미지는 kibana 의 Index Lifecycle Policies 의 상세 화면의 일부이다. Maximum index sizeMaximum age 등을 통해서 용량별 / 기간별로 index 삭제 주기를 설정할 수 있다.


3번의 경우, 서비스가 동작하는 서버와 서비스에 대한 메트릭을 수집하는 다양한 방법이 존재하므로, 현재의 상황에 맞게 찾아서 적용하면 될 것이다. 핵심은 문제 상황 시 이를 자동으로 notification 하는 시스템을 구축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이다. (집중해서 개발도 해야 하잖아)

느낀점

  • (언제나 그렇듯이) 원인만 알면 문제해결 자체는 쉬운 편이다.
  • 아무리 바빠도 최소한의 모니터링 체계는 갖추어야 한다.
  • 리소스는 많을수록 편하다

오늘의 장애일지 끝 ㅋㅋ